크레오넷 소개

국가과학기술연구망

크레오넷 / KREONET / Korea Research Environment Open NETwork


연혁 및 역할

국내 최초 전국단위 인터넷(TCP/IP) 서비스 운영

국내 200여 산·학·연 기관 및 연구실의 과학 및 공학연구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산학연 기관 대상 유료(일반회원) 및 무료(특별회원)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

AS Number : 1237 (국내망, KREONET), 17579 (국제망, KREONET2) <1>

20여개 국내 PoP / 4개 국제 PoP / IX / 각 지점을 잇는 링크로 구성 <2,3>


법률적 정의 및 타 연구망과의 관계

5대 국가기간전산망 중 하나 <4>

3대 NREN(국가연구교육망) 중 하나 <5>

국가 슈퍼컴퓨터 법 2조 5항에 정의된 네트워크 <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운영지침에 의해 운영되는 네트워크 <7>


회원 분류

회원규칙

① 회원기관은 연구개발 및 교육을 목적으로 연구망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국내의 정부출연 연구기관, 정부․공공기관, 교육기관, 학회, 협회, 산업체 연구소 등을 대상으로 한다.

② 회원기관은 단위기관 가입을 원칙으로 하며, 다음 각호와 같이 일반회원과 특별회원으로 구분 한다.

구분

세부구분

목적

서비스

지원내용

비용

일반회원

-

현업

인터넷

-

회비, 회선비

특별회원

첨단기관

연구/과학/공공

X

기술지원

X

특별 회원

회원 규정

특별회원은 매년 이용기관의 신청에 따라 연구내용 및 고대역 연구망 지원의 적절성 등을 평가하여 선정위원회에서 선정하고, 다음 각호와 같이 연구망 특화를 위해 연구개발 및 실험에 필요한 고대역 이용기관과 특별 이용기관으로 구분하여 지원한다.

세부구분

목적

서비스

지원내용

비용

평가

성과보고

첨단기관

연구/공공

기가급회선

기술지원

-

선정/최종평가

보고서(1,2회/년)

고대역기관

현업 연구

기가급회선

-

회비

선정평가

-

전략기관

사업/공공

기가급회선

기술지원

-

선정평가

보고서(1회/년)



<1> 인터넷(Internet)은 상호연결(Inter-)된 네트워크(Network)이며, 각 네트워크는 고유의 망식별번호(AS number)를 가지고 있음.

<2> 네트워크 접속점(PoP, Point of Presence)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접속되어 연동되는 지점임. 크레오넷 지역망센터(국내 PoP)은 MOU를 맺은 연구교육기관의 전산실에 크레오넷 장비를 co-location 하는 형식으로 운영중임. 해외 PoP은 해외 주요 연구망 및 ISP들이 이용하는 상용 PoP에 장비를 co-location 하여 운영함.

<3> 크레오넷은 인터넷 교환지점(IXP, Internet eXchange Point)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 Tier-1,2 사업자와 인터넷을 transit 하는 것은 매우 고가이며, 크레오넷은 Internet2, GEANT 등의 해외 NREN들과의 peering 위주로 대용량 트래픽을 전송함.

<4> 1987년 국가 5대 전산망 선포, 1988년 전산망조정위원회에서 교육연구망을 교육전산망(KREN), 연구전산망(KREONET)으로 분화.

<5> 대한민국 3대 국가연구망(NREN, National Research and Education Network)은 다음과 같음; 과기정통부 1차관(과학연구 진흥 업무)이 담당하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과기정통부 2차관(대민 및 정보통신 진흥 담당)이 담당하는 미래네트워크선도시험망(KOREN), 교육부가 운영하는 교육전산망(KREN)

<6> 2011년 제정된 초고성능컴퓨터법(국가초고성능컴퓨터 활용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기술된, 슈퍼컴 부속 인프라로서의 네트워크

<7>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정관 및 내부규정 >>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운영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