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_05_W20_주간업무 (양다원)

PDCA







P




D




C




A




일일회고

2025/05/12

  • Fact : 첫 출근을 하면서 근무계약서를 작성하였고 Wiki에 인턴 자기소개도 작성했다. Wiki에 등록된 인턴 가이드를 보면서 전반적인 가이드를 숙지했다. 중간에 비밀번호를 잊어버려서 하모니카 응급복구모드로 진입해 비밀번호를 재설정했다.
  • Feelings : 대학교와는 다르게 업무가 체계적이었고 새로운 프로그램들에 적응하려고 노력했다. 첫 날이다 보니 모르는 것도 많았지만 천천히 익혀나가면 적응해 나갈 수 있을 것 같다.
  • Finding : 인턴 가이드 숙지 및 전반적인 사무실 분위기를 알 수 있었다. KREONET WIKI 및 KISOL 사용법을 배웠다.
  • Future Action Plan : 근로계약서 작성 및 사내 메일 생성, 하모니카 응급복구 모드에서 비밀번호 재설정, KREONET WIKI 및 KISOL 사용법 숙지
  • Feedbacks 

2025/05/13

  • Fact : Kreonet 워크숍 설문조사 자료를 Excel에 정리했다. KVM을 이용해 리눅스와 윈도우로 번갈아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세팅했다.
  • Feelings : 설문조사 자료를 정리하는데 꽤 많은 시간이 걸려 힘들었지만 끝까지 잘 완료했다. KVM도 처음 써보는 장비였지만 옆에 있는 인턴분과 협업해서 장비 세팅에 성공했다.
  • Finding : KVM 사용법을 인터넷에 검색하며 해결했다. 설문조사 자료를 정리했는데 약 200명의 자료를 정리하는 일은 꽤 오래걸리는 일이었다.
  • Futrue Action Plan : Kreonet 워크숍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한 Excel 정리, KVM 사용법 숙지
  • Feedbacks

2025/05/14

  • Fact : Clone Zilla 및 Ventoy 사용법을 학습했다, Linux의 fdisk, Window diskpart를 이용한 파티션 명령을 많이 사용했다, 서버실 및 슈퍼컴퓨터실을 견학했다.
  • Feelings : Clone Zilla와 Ventoy는 처음 사용하는 프로그램이었지만, 사용법을 익히고 나니 생각보다 편리하게 느껴졌다. 서버실과 슈퍼컴퓨터실을 견학하였고 여러 회사의 회선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모습과 이를 관리하는 과정이 인상적이었다. 또한 Linux와 Window 환경에서 Clone Zilla를 사용하면서 파티션을 조정해야 하는 상황이 있었는데, 이 과정에서 fdisk와 diskpart 명령어를 자주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었다.
  • Finding : Clone Zilla와 Ventoy의 버전 차이가 클 경우, 두 프로그램 중 하나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함을 발견했다. Clone Zilla를 사용할 때 완료 메시지가 표시됬지만, 실제로는 파일이 생성되지 않는 오류도 발견했다.
  • Futrue Action Plan : Clone Zilla,ㅜ Ventoy 사용법 숙지, 리눅스와 윈도우 파티션 관련 명령어 숙지, 슈퍼컴퓨터실 및 서버실 견학
  • Feedbacks


Memo

KREONET WIKI에서 2023년도 인턴 기록을 참고하여 자기소개서와 일일회고를 작성했다.

Clone Zilla 이용시  Ventoy 버전 확인(버전이 많이 차이나면 Clone Zilla 동작 오류 발생)

Ventoy를 이용해 리눅스 iso 설치(편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