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_08_W34 주간업무 (김진기)
PDCA
학습 | 개발 | 부서업무 | 부서교육 | 기타 | |||
---|---|---|---|---|---|---|---|
P | NET Flow 학습 | Netsage NetFlow 구축, Go flow 구축, NSO L2VPN 보완, Elastic Flow 구축 | |||||
D | NET Flow 학습 | Netsage NetFlow 구축(데이터 통신 에러), NSO L2VPN 보완, NetFlow 프로토 파이프라인 제작 이후 구축, Kreonet 웹 서비스 DB 구조 짜기, Speed-test 서울 추가 구축 및 UI 변경 | |||||
C | NET Flow 학습 | Netsage NetFlow 구축(데이터 통신 에러), NSO L2VPN 보완, NetFlow 프로토 파이프라인 제작 이후 구축, Kreonet 웹 서비스 DB 구조 짜기, Speed-test 서울 추가 구축 및 UI 변경 | |||||
A |
일일회고
25/08/18
- Fact: L2VPN Develop 진행, NetSage에서 제공하는 모니터링 pipeline 구축,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flowgenerator - netflowcollector - importer- rabbitmq - logstash - elasticsearch- Grafana 구축 진행 중, Grafana Template Json 파일 구축
- Feelings: NSO 패키지 구축 과정에서 Action 기능을 통한 LiveStatus 확인이 가능해, 데이터 입력 전에 데이터 시각화가 가능할 것이라 여겼지만 되지 않아 어려움을 겼었다. 기존 NetSage 네트워크 플로우 시각화를 위한 환경 구축 과정의 이해 부족을 느낌.Netsage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Document 부재 및 라이브러리 버전 비호환 문제와 각각의 Tool 사용방법 등의 차이로 파이프라인 재구성에 어려움을 겪음
- Finding: NSO 패키지에서 Action 기능은 현재 운영 상태(Live-Status)를 즉시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되지만, 데이터 입력(CDB) 단계에서는 데이터가 아직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시각화 불가능,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파이프라인 구조 형태, rabbitmq vs redis, netflow 시각화를 위한 netflowcollector 사용법, rabbitmq 제공 웹 UI 사용법
- Future Action Plan: NetSage Netflow 시각화 구축, 다른 Netflow 시각화 차이 분석 및 구축
- Feedbacks:
25/08/19
- Fact: Netsage NetFlow 구축 시도, importer - rabbitmq로 데이터 전송 오류 해결 중, Grafana Template 쿼리 오류 해결 중
- Feelings: 생각보다 하나의 시스템을 실행하는데 켜져야 할 시스템이 많아 디버깅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 Finding: Netsage Netflow 흐름도, Grafana 사용법, Flowgenerator, Netsage Netflow에서 실제 사용되는 도커 이미지 확인
- Future Action Plan: Netsage NetFlow 구축 및 구조 분석
- Feedbacks:
25/08/20
- Fact: perl 파일로 구현 된 importer 디버깅, importer에서 rabbitmq 데이터 전송시 버전 차이 등의 여러 이유로 연결이 끊김, 각각의 ping 통신은 가능하지만 데이터 전송이 불가, generator 정상 작동 여부 확인, 데이터 전송 플로우 상의 문제 점 확인, Netflow 모니터링 시스템 파이프라인 구상
- Feelings: 생각보다 쉽게 해결될 줄 알았던 importer와 rabbitmq의 문제점은 importer의 코드 공개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디버깅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오래된 버전의 OS 등을 사용해 시스템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아 최신 버전에 가까운 시스템으로 다시 개발해야겠다고 생각함
- Finding: importer 도커의 시스템 구현 및 작동 방법 확인, importer와 rabbitmq 버전 차이에 따른 AMQP 소켓 오류, Netsage에서 제공하는 Gragana 템플릿
- Future Action Plan: 기존의 Netsage Netflow 모니터링 시스템의 파이프라인이 아닌 새로운 파이프라인 구상 및 구축하기
- Feedbacks:
25/08/21
- Fact: Netflow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한 VM 환경 구축, 모니터링 시스템 파이프라인 구축(logstash - rabbitmq - logstash - elasticsearch - grafana - elastalert - airflow), 파이프라인 구축 이후 데이터 통신 확인 및 logstash 필터 구성, Kreonet 웹 포탈 개발 관련 회의 진행
- Feelings: 기존 Netsage Netflow를 이용한 개발을 진행할 때 제대로 버전 차이 등으로 인해 시스템 작동 및 통신에 오류가 있었지만, 현재는 그런 오류가 있지 않아 개발에 진전이 보인다.
- Finding: 현재 여러 기업에서 사용하는 모니터링 툴, Proxmox를 이용한 VM 구축, 모니터링 시스템 파이프라인 구축 및 통신 방법
- Future Action Plan: Netflow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Kreonet 웹 포탈에 유용할 DB 구조 짜기
- Feedbacks:
25/08/22
- Fact: Kreonet 웹 포탈 DB 개발 관련 회의 진행, 들어오는 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인터페이스 개발, speed-test 웹 포탈 서비스 서울 추가 구축 및 대전-서울 인터페이스 UI 수정
- Feelings: 대전 speed-test 서비스를 서울에도 구축하는 과정에서 certbot 발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https가 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었다.
- Finding: 자동 certbot 인증서 발급, 인터페이스 화면 UI 변경, 그라파나 JSON 파일 구조 삽입 방법, DB 구조 짜는 법
- Future Action Plan: Kreonet 웹 포탈 DB 구조 짜기, Netflow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모니터링 시스템 인터페이스 개발
- Feedba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