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EONET Workshop 1일차
양자 통신 & 양자 네트워크
- 장비보다는 서비스에 주목
- 양자 통신?
- 양자 암호 통신 QKD 치중
- 양자컴퓨터간 연결
- 유선 네트워크 기본
- 무선은 어려워 위성으로 먼저 진행 중
- 양자 통신 물리 계층 표준 X
- 양자 네트워크
- 5차 산업혁명
- 인간 중심
- 지속가능성
- 회복탄력성
- 양자 통신/보안
- 초신뢰 보안
Big Science, Big Data, Big Computing
- 중력파 - 중력장 자체의 출렁임
- 베이시안 모수 추정
- 다중신호 천문학
Physical AI
AI → Physical AI(인공지능 + 물리객체)
- 데이터 획득, 정보의 의해, 판단, 제어
물리객체의 지능화 (As-Is)
- 개별 물리객체가 독립적인 지능화를 통하여 주어진 환경에서 자동화된 이동과 임무를 수행하는 형태
- Sensing → Perception → Decision → Control의 전 과정이 개별 물리객체 내부에서 수행
- 자율주행시행차 예
- 물리객체 내부의 연산부하 증가
- 환경정보 부재로 물리객체 충돌 발생
- C-ITS 등 네트워크 기반의 정보교환 도입
- C-ITS?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
- 기술개발의 방향
- 이음 5G 특화망
- DSRC & C-V2X
- 다양한 통신분야의 기술개발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사용요구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
- 객체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 표준화된 단말기 설치?
-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충분히 빠르고, 고용량으로 정보 전송?
- 현장 기술 요구사항
- 고도의 지능화를 통한 자동화
- 지능화 UP → 전산자원 UP → 전력사용량 UP, 배터리용향 UP → 무게, 부피 UP, 구동계 용량 UP → 비용 UP
- 초고속, 초저지연 네트워크
- 상대적으로 정형화된 물류 창고 내 절차 자동화를 위한 Physical AI
- 수직적 시스템들 간의 호환문제 발생(개별 시스템으로 인한 시스템 간의 호화문제 발생)
- 각각의 물리객체, 물리객체의 연관된 운영, 인프라 간 호환의 문제 발생
- 유무선 통합을 통한 호환성의 확보
- 기존 응용분야에서의 요구사항에서 시장의 수요 발생
- 고도의 지능화를 통한 자동화
자율주행 사례를 통한 Physical AI 시사점
- 2010년대 들어서면서 본격적인 이동체계 파라다임 전환
- 국내) 자율주행기술개발 혁신사업(LV 4 상용화 목표)
- 국외) 다수 국가에서 로보택시 운영
- 우리나라 자율주행 운영
- 국내에서는 25년부터 탑승자 없는 무인 자율주행 실시
- 자율주행 시스템이 처리하지 못하는 돌발상황 또는 운행기능영역 외 운행시 원격개입 및 제어 필요
- 원격 개입 시, 초저지연 네트워크의 필요 (예 36km/hr로 1초 동안 10m 차이)
- 국내에서는 25년부터 탑승자 없는 무인 자율주행 실시
- 자율주행차는 온디바이스 시스템
- 원격 제어
- 제어권 전환상황 발생
네트워크 통한 산업분야 혁신 가능성
- Network
- 인공지능의 발전과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물리객체의 자율화 급격화 촉진
- 제한된 전산자원과 전력 등 문제를 네트워크를 통한 분산화로 문제 해결 방향 설정
- 시장수요
- 통신 서비스 수요가 아닌 제조업, 모빌리티 산업 등에서 수요 급증 예상
- 네트워크 공급자 입장이 아닌 Physicl AI 실제 수요 측면에서 기술 접근 필요
- 호환성
- 확장성
생성형 AI시대의 사이버보안
- 생성형 AI의 발전
- LLM
- 대규모 학습데이터를 모아 정제 과정을 거쳐 학습을 시킴
- 인공지능을 위한 보안기술
- 프롬프트 인젝션
- 공격자가 조작된 프롬프트를 사용하여 모델이 원래의 지시를 무시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작업을 수행하도록 만드는 것.
- 탈옥(Jell break)
- Visual Prompt Injection - 악의적 지시를 이미지 내에(가시적, 비가시적으로) 내장하여 모델의 오작동 유도
- 적대적 공격
- 이미지 내에(가시적, 비가시적으로) 노이지를 내장하여 모델의 오작동 유도
- AI 공급망 공격
- Hugging Face의 라이브러리, PyTorch
- OWASP Top 10 for LLM Applications
- Github Copilot RCE(CVE-2025-53773)
- Copilot 이 주석, Readme 설정 등을 정확히 필터링하지 않아 생기는 취약점
- Rug Pull Attack : Postmark MCP
- 정상적인 MCP 파일을 배포
- 1.016 버전에 숨은 참조로 이메일 탈취 코드 삽입
- 입/출력 안정성 체크
- AI 레드팀
- Deepseek 관련 보안이슈
- 프롬프트 인젝션
- 허위조작정보 생성 및 대응
- Exploitation of GenAI capabilities
- 생성형 AI 기능/역량 악용하는 전술
- GenAI Misuse 목표
- Deepfakes
- Face Swap
- Act one
- AI 딥페이크 기반 군 공무원증 위조 김수키 APT 캠페인
- Fake News
- Computational Post
- Propaganda
- 딥페이크 탐지 - 공간영역
- 변조/생성된 영상은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여러 흔적 남김
-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점점 더 정교해 지고 있음
- 딥페이크 탐지 - 주파수영역
- 딥페이크 탐지 - 딥러닝 접근
- 딥페이크 탐지 - 일반화 성능 향상
- 생성형 AI 대상 워터마킹
- XDAC - AI 생성 댓글 탐지 기술
- Exploitation of GenAI cap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