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etheus와 InfluxDB
Ⅰ.Prometheus와 InfluxDB 개념 정리
1. 프로메테우스 (Prometheus)
서버 모니터링에 특화된 시스템
- 시스템의 상태 지표(Metric)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장애 발생 시 경고를 보내는 데 초점을 맞춤.
가. 핵심 철학: 풀(Pull) 방식의 데이터 수집
- 풀(Pull) 방식을 통한 데이터 수집 방식
- 프로메테우스 서버가 주체가 되어, 약속된 엔드포인트(
/metrics
)를 노출하고 있는 모니터링 대상(Exporter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주기적으로 접근해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식중앙 집중적 관리
모니터링 대상, 수집 주기 등 모든 정책을 프로메테우스 서버의 설정 파일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어 구성이 간편하고 일관성을 유지하기 쉬움
서비스 상태 자동 인지
데이터를 가져오는 데 실패하면 해당 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했음을 즉시 인지(
up
메트릭)하고 대응 가능
서비스 디스커버리
쿠버네티스(Kubernetes)와 같은 동적인 환경에서 새로 생성되거나 사라지는 서비스를 자동으로 탐지하여 모니터링 대상으로 추가하거나 제외 가능
나. 주요 구성 요소 및 특징
다차원 데이터 모델
모든 시계열 데이터는
메트릭 이름
과Key-Value
형태의레이블(Label)
집합으로 식별
강력한 쿼리 언어 (PromQL)
다차원 데이터 모델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설계된 강력한 쿼리 언어
PromQL
을 제공복잡한 연산, 집계, 예측 가능
시각화 및 경고
자체 웹 UI를 제공하지만, 주로 그라파나(Grafana)와 연동하여 시각화 대시보드 구축
Alertmanager를 통해 경고 규칙을 정의하고 다양한 채널(Slack, Email 등)로 알림을 보낼 수 있음
2. 인플럭스DB (InfluxDB)
유연한 시계열 데이터 베이스
- 시계열 데이터를 저장, 조회, 처리하는 데 최적화된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 특정 목적에 국한되지 않고, 서버 메트릭, IoT 센서 데이터, 금융 거래 기록, 실시간 분석 등 다양한 유형의 시계열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강점
가. 핵심 철학: 푸시(Push) 방식의 데이터 수집
- 푸시(Push) 방식을 통한 데이터 수집 방식
- 데이터를 생성하는 주체(애플리케이션, 서버 에이전트 등)가 InfluxDB 서버로 데이터를 '밀어 넣는' 방식
유연한 데이터 수집
데이터 소스 종류에 제약이 적고, 방화벽 내부나 비정기적으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기에 용이
에이전트 중심의 설정
데이터 수집 주기와 내용은 데이터를 보내는 각 에이전트(주로 Telegraf)에서 설정
높은 쓰기 처리량
데이터를 받는 데 최적화되어 있어 초당 수십만 건 이상의 높은 쓰기 처리량을 자랑
나. 주요 구성 요소 및 특징
TICK 스택: InfluxDB 생태계
Telegraf: 데이터 수집 에이전트
InfluxDB: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핵심)
Chronograf: 데이터 시각화 도구
Kapacitor: 데이터 처리 및 경고 엔진
데이터 자동 관리
데이터 보관 주기(Retention Policy)를 설정하여 오래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삭제하거나, 다운샘플링(Downsampling)을 통해 데이터를 요약하여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능 내장
SQL과 유사한 쿼리
InfluxQL, Flux 등 SQL과 유사한 쿼리 언어를 제공해 기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들도 비교적 쉽게 접근 가능
Ⅱ. 프로메테우스 vs InfluxDB: 비교 분석 및 활용 전략
1. 비교 분석표
구분 항목 | 프로메테우스 (Prometheus) | 인플럭스DB (InfluxDB) |
---|---|---|
핵심 정체성 | 모니터링 시스템 (All-in-One) |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TSDB) |
데이터 수집 | Pull (풀): 서버가 능동적으로 수집 | Push (푸시): 에이전트가 수동적으로 전송 |
주요 사용 목적 |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 서버/인프라 상태 모니터링 | IoT, 실시간 분석, 이벤트 로그 등 범용 시계열 데이터 |
데이터 모델 | 메트릭과 레이블 기반의 다차원 모델 | Tag, Field 기반의 유연한 데이터 모델 |
쿼리 언어 | PromQL: 강력한 분석 기능 | InfluxQL/Flux: SQL과 유사하여 학습 용이 |
상태 확인 | 서비스 다운 시 즉시 인지 가능 ( | 데이터가 안 들어올 때 원인 파악이 상대적으로 어려움 |
확장성/HA | 단일 노드 기반. 별도 솔루션(Thanos 등) 필요 | 클러스터링 기능 내장 (오픈소스 버전은 제한적) |
생태계 | Grafana, Alertmanager 등과 조합 | TICK Stack (Telegraf, Chronograf, Kapacitor) |
2. 시너지 창출: 프로메테우스 + InfluxDB 연동 전략
프로메테우스의 약점인 '데이터 장기 저장(Long-Term Storage)'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nfluxDB를 활용
가. 아키텍처 구성
데이터 수집 (프로메테우스)
기존과 동일하게 프로메테우스가 Pull 방식으로 각 서비스의 메트릭을 수집
프로메테우스는 단기 데이터(예: 15~30일)를 보관하며 실시간 경고 및 운영 대시보드에 집중
원격 쓰기 (Remote Write)
프로메테우스의
remote_write
기능을 설정이 기능은 프로메테우스가 수집한 모든 데이터를 지정된 원격 스토리지로 실시간 복사하여 전송
장기 저장 (InfluxDB)
remote_write
의 대상으로 InfluxDB를 지정InfluxDB는 프로메테우스로부터 받은 모든 메트릭 데이터를 받아 영구적으로 혹은 수년간 안전하게 보관
통합 분석 (Grafana).
Prometheus 데이터 소스
최근 데이터 조회, 실시간 운영 및 장애 대응에 사용
InfluxDB 데이터 소스
월별/분기별 성능 리포트, 장기적인 추이 분석 등 과거 데이터 조회에 사용
나. 기대 효과
장점의 극대화
프로메테우스의 강력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Pull 기반의 안정적인 수집, PromQL의 분석 능력은 그대로 활용
단점의 보완
InfluxDB를 통해 프로메테우스의 약점인 데이터 장기 저장과 확장성 문제를 해결
운영 효율성
실시간 운영과 장기 분석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하나의 아키텍처에서 모두 달성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