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
PDCA
전공교육 | 개발실습 | 부서교육 | 부서업무지원 | 기타 | ||
---|---|---|---|---|---|---|
Plan | 데이터스쿨 교육(1~6차시) | Mininet 실습 | 리눅스 기초 강의 수강, 인턴 기간 목표 설정 | |||
Do | 1~2차시 수강(2/1) 3~4차시 수강(2/2) 5~6차시 수강(2/3) | 1일 2차시 수강 | Ubuntu 설치, wireshark 사용(1/31) mininet 실습 시도(미흡)(2/2) mininet 실습(2/3) | 생활 코등 코딩 수강 및 위키 강의(1/31 ~ 2/3) | ||
Check | 1~2차시 수강(2/1) 3~4차시 수강(2/2) 5~6차시 수강(2/3) | VM으로 mininet 실행시 오류발생, 파이썬 언어 실행 오류 다른 것들은 실행 가능 | 필요시 될만한 리눅스 강의 수강 위키의 리눅스 설명서 읽기 | |||
Action | 다음주에 나머지 차시 수강 | VB를 이용하여 mininet 실행완료 예정 |
MEMO
리눅스 GUI 설치(Ubuntu with VMWare) & Wireshark를 이용한 패킷 송수신 확인( 2023 / 01 / 31)
- VMware 및 Ubuntu 설치 가이드 - https://talkit.tistory.com/677
- Wireshark 참고 블로그 - https://blog.naver.com/comstering/222435623635, https://ciksiti.com/ko/chapters/3136-how-to-install-and-use-wireshark-on-ubuntu--linux-hint
Ubuntu 내의 FireFox를 이용하여 네이버를 접속한 때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된 패킷을 잡아 확인해보았습니다.
프로토콜은 TCP를 사용하였으며, 참고 블로그를 따라 패킷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생활코딩 리눅스 기초(https://opentutorials.org/course/2598) 수강( 01/31 ~ 2/3 )
제목 내용 1 file & directory 터미널을 이용하여 파일과 관련된 명령어와 파라미터 실습 - ls, rm, cd, pwd, touch
2 --help & man 명령어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알기 위한 manual 출력. 3 searching, sudo 처음 접하는 리눅스 언어에 대한 명령어 검색, sudo(super user do) 설명 4 file edit(nano) 리눅스 터미널을 이용한 편집기인 nano
5 package manager & downlaod file & git 리눅스 프로그램 설치 & wget을 이용한 파일 다운로드 & git clone 을 이용하여 오픈소스 사용
6 Using CLI GUI vs CLI의 특징, |(pipe)를 통한 CLI응용
7 Permission 리눅스의 경우 여러 사용자를 만들어 사용이 가능한데, 이 경우에 파일을 접근할 시에 권한이 중요하다.
owner.group.other | r: read, x: execute, w: write |
chmod : 권한 설정을 변경하는 명령어.
8 Web Server apache를 이용하여 서버를 열어보는 실습 진행,
웹 서버와의 통신의 과정 소개 - apache2 내의 폴더의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여러 경로의 html등 파일들을 불러와 사용자에서 전달하는 과정이다.
9 SSH 원격 제어를 이용하기 위한 SSH. SSH를 통한 통신 과정 소개.
SSH server - client 사이의 접속과 통신에 대하여 알 수 있는 강의
KISTI 과학데이터 교육 센터 강의 수강(2/1 ~ 2/3)
차수 제목 내용 1 데이터 과학 기초 현재 많은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용화된 기술 및 미래의 기술 소개, 데이터 과학의 이론 및 중요성 설명 2
인공지능 기초 Jupyter notebook 설치 후 Tensorflow를 이용하여 간단한 이미지 러닝, CNN을 이용하여 이미지 분류 실습
인공지능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 교육3
딥러닝 이해하기 인공지능 안에 속해있는 딥러닝에 관련하여 여러 방식들을 소개하며, 기본적인 원리 소개 4
슈퍼컴퓨터 이해와 활용 KISTI 에서 운용하고 있는 누리온에 관해 설명 및 슈퍼컴퓨터와 관련된 이론과 기술 소개 5
사례를 통한 빅데이터 분석 데이터 관리에 많이 쓰이는 R언어를 이용하여 실생활에서 축적된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는 실습 진행. 6
DMP(Data Management Plan) DB와 같은 데이터 관리 시에 필요한 과정 및 단계들에 대한 교육 진행
가상머신 vs 컨테이너
- https://circleci.com/blog/containers-vs-virtual-machines/?utm_source=google&utm_medium=sem&utm_campaign=sem-google-dg--japac-en-dsa-maxConv-auth-brand&utm_term=g_-_c__dsa_&utm_content=&gclid=Cj0KCQiA2-2eBhClARIsAGLQ2Rnv7GkkzjwxFZnRMH4j0gzi4ePgeyS4BcJDfaQ6v3_1Lgbihev8uLEaAuCTEALw_wcB (영문,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
- https://learn.microsoft.com/ko-kr/virtualization/windowscontainers/about/containers-vs-vm
Mininet 실습
일간회고(3Fs, 5Fs)
Facts | Feeling | Finding | |
---|---|---|---|
1/31 | 우분투 설치 및 리눅스 기초 강의 수강 | 처음 접해보는 것을 도전함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꼈지만, 블로그 및 위키 페이지를 통해 해결할 수 있어 감사함과 성취감을 느낌 | 어려운 것은 익숙하지 않음을 뜻한다. |
2/1 | 리눅스 기초 강의 수강 & 교육 센터 강의 수강 | 인터넷 동영상 강의로 듣는 교육이다 보니 많은 도움이 될까 하였지만, 충분한 이해를 위한 많은 실습 과정과 좋은 이론 강의로 많은 배움을 얻을 수 있었다 | 꾸준히 한다면 생각보다 많은 것을 얻어 갈 수 있다고 생각했다. |
2/2 | 교육센터강의 수강 & mininet 실습 | mininet을 통해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을 실행 후 wireshark를 이용하여 패킷 분석을 시도하였으나, mininet 설정에서 헤매어 제대로 실행X | 질문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더 많은 정보를 찾아 해결해보도록 해야겠다. |
2/3 | VM을 이용한 mininet 실행 & 데이터과학 강의 수강 | 어제 실행하지 못하였던 mininet을 Virtual Box의 가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실행하였습니다. ssh를 통해 접속을 하여보았습니다. 이것을 이용하여 패킷이 전송되는 순간의 패킷을 분석하기 위해 wireshark를 이용해 볼 예정 입니다. | mininet이라는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달되는 패킷을 잡아 분석하는 실습을 하여 실제 이렇게 통신이 이루어 진다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