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가 이상한 경우, 다음을 정리하여 회신 부탁드립니다.

필요하다고 생각되시는 부분만 작성하시면 됩니다.



1. 문제점

문제점을 기술합니다.


2. 토폴로지 점검

2.1. 개념 토폴로지 확인

(참고) 손으로 그린 사진이어도 좋습니다. topology.pptx 를 다운로드 하여 수정하셔도 됩니다.


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

각 호스트들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랜카드)의 속도를 확인합니다.

(참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속도 확인


2.2. 물리적인 전달 경로 확인

광회선이 DROP된 곳부터 컴퓨터까지 실제 물리적인 경로와 매채/매질을 확인합니다.

생각보다 많은 문제가 물리적인 전달 경로를 확인하여 해결됩니다. 주로 벽단자를 지날 때, 스위치에서 분기할 때 속도가 저하됩니다.

다음 참고문서를 확인하여 물리적인 전달경로를 확인하고 경로와 주요 사진을 첨부합니다.

(참고) 물리 전달 경로 확인


2.3. 패킷 전달 경로 확인

traceroute (리눅스) 또는 tracert (윈도우) 를 이용하여 패킷 전달 경로를 검사하고 그 로그를 첨부합니다.

(참고) 2020 EU Sentinel 위성데이터 전송경로 비교


3. 속도 테스트

iperf 를 통하여 속도 테스트를 진행하고, 그 로그를 첨부한다.

(참고) 전송 속도 테스트


4. 전송 머신 확인

1)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의 로그를 송부한다.

  • 속도가 나오는 스크린샷, 사진도 가능합니다.

2) 데이터 전송, 수신 호스트의 정보를 회신한다.

3) 전송 속도가 회선 대역폭과 비교하여 70~80% 낮게 나오는 경우 네트워크 파라미터 튜닝 후 속도 테스트를 해 본다.

4) (리눅스) 네트워크 커널 파라미터를 회신한다.

  • 커널 버퍼 크기 확인

    sudo sysctl -a | egrep 'mem_(max|default)|tcp_.*mem'
  • 네트워크 파라미터 확인
    >> 리눅스 네트워크 튜닝 에서 언급된 항목을 회신한다.

    sudo sysctl net.core.default_qdisc
    sudo sysctl net.ipv4.tcp_congestion_control
    ...

5. 테스트 계정 정보 회신

테스트 가능한 SSH 계정 정보를 크레오넷 담당자에게 회신합니다.

(중요) iperf 를 설치하고, iperf가 사용하는 포트의 방화벽을 예외처리 하신 뒤에 주셔야 합니다.